본문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광주광역시 농업·도시농업
농업미생물배양실
목적
  • 농업용 미생물 활용으로 화학비료와 농약으로 오염된 토양을 개선시켜 안전한 우수농산물 생산
  • 친환경 농업기반구축과 농가 경쟁력 강화
시설 및 장비현황
  • 규 모 : 2개소, 653㎡(멸균배양실 488㎡, 살균배양실 165㎡)
  • 주요장비 : 멸균배양기(1.5톤) 3대, 살균배양기(15톤) 2대, 무인안내기(키오스크) 1대 등
유용미생물 생산현황
  • 생산균주 : 6종(광합성균, 유산균, 고초균, 클로렐라, 바실러스 GH1-13, 효모균)
  • 생산 계획량 : 총 150톤

(생산단위 : 톤)

유용미생물 생산현황을 소계,살균장비(GCM 바실러스균),멸균장비(유산균,고초균,광합성균),기타(클로렐라)와 생산계획량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입니다.
구분 기존미생물 유기농자재 기능성미생물
고초균 광합성균 유산균 클로렐라 GH1-13 효모균
생산계획량(톤) 30 30 30 30 15 15
유용미생물 공급체계
  • 공급대상 : ‘주민등록상 주소지 및 사업장이 광주광역시’인 자
    • 대상모집 : 홈페이지를 통한 수시모집 * ‘미생물 활용 기본교육’ 수강 필수
  • 공 급 일 : 매주 목·금 / 9:00~16:00 * 공휴일 제외
  • 공급방법 : 무인안내기 활용 최소 대면 공급
  • 공급기준 : 농가 재배면적별 차등 공급 / 월별 최소 2L(텃밭용) ~ 최대 80L(4,000㎡ 이상)
    • 증빙서류(농지원부, 경영체등록확인서, 임대차계약서)의 경작 면적을 기준으로 함
농엄용 유용 미생물 공급 과정
  1. 미생물 연구 배양 생산 STEP 1 미생물 연구 배양 생산
  2. 필수 교육 운영 STEP 2 필수 교육 수강(연 1회)
  3. 미생물 간편 신청 STEP 3 미생물 간편 신청
  4. 편리한 소포장 공급 STEP 4 편리한 소포장 공급
미생물 활용방법
미생물 활용방법을 미생물,용도,희석배수,사용방법과 작물,축사로 구분하여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미생물 용도 희석배수 사용방법
작물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클로렐라
상토혼합 원액 상토(100kg)에 1L투입
퇴비제조 원액 퇴비(100kg)에 2L투입
관주, 엽면 유묘기 300배~500배 물 1,000L당 2~3L
생육기 200~500배 물 1,000L당 2~3L
축사 광합성균
고초균
축사 악취제거 100~200배 고초균, 광합성균 1:1혼합 후 축사에 분무(0.6L/㎡)
친환경미생물배양실 디지털 관리 시스템 최초 도입·운영
  • 농촌진흥청, 비대면 영농기술지원 우수사례 소개
자세히 보기
안내 및 문의
  • 미래농업과 환경농업팀 : 062-613-5296
  • 친환경미생물배양실 : 062-613-5307~8
자료관리 담당자
담당부서 :
미래농업과
담당자 :
최동주
연락처 :
613-5296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