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메뉴 열기

시민을 위한 깨끗하고 투명한 정비사업

광주광역시 도시·건설
도시철도 건설방식 비교
지상고가형 건설방식 (부산4호선) 12~15m 4m 노면축소로 교통정체, 소음·진동 유발 및 도시미관 저해, 도시환경과 사생활침해 등 악영향 우려 저심도 건설방식 (광주2호선) 7~8m 도입공간에 대한 새로운 발상의 전환 최소굴착-단순화,경량화 최소접근동선-이용 편의성 지하 건설방식 (서울 7호선 석남 연장선) 15~20m 굴착 심도가 깊어 건설비가 고가
건설방식 안정성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와 기술적 문제 지반보강 실시 안정성이 확보된 구조물 설계 지지력 보강 공사 실시 전구간 지반조사 실시 지하구조물과의 상충과 운영중에 소음·진동 지반과 구조물의 차음 효과로 소음 발생 거의 없음 정온시설, 지장물의 진동기준치 모두 만족 무인운전에 따른 문제 안정화 단계까지 안전요원 탑승(부산4호선, 대구3호선, 의정부경전철) 정거장 스크린 도어 설치 고무차륜, 탈선 및 전복 위험 없음 CCTV설치와 양방향 통신시설 설치 원격제어 시스템 구축
해외사례
해외사례 부다페스트(M1, 1896년 개통)는 4~5m 깊이의 저심도 노선을 120년간 안전하게 운행중 교통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현시점에도 대대적인 보수없이 한차례 리모델링 후 운영중 Hosok Tere역은 지상에서 20단계만 내려가면 역사 대합실로 연결될 정도로 저심도 저도심 지하철 출입구 20계단 깊이의 저심도 승강장 기둥형 개착구(Hosok Tere역)
타시도 사례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타시도 사례 사업규모 사업비
(억 원)
구조물형식 구조물크기
(m)
굴착심도(m)
평균심도 최소심도 최대심도
사상 ~ 하단선 L=6.9km 5,388 콘크리트
박스형
8.25 X 5.4 11.3 7.3 15.2
우이 ~ 신설 L=11.4km 6,465 콘크리트
박스형
8.3 X 5.18 11.0 7.6 14.4
자료관리 담당자
담당부서 :
공사계획과
담당자 :
김재경
연락처 :
613-6543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