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 소개
정보통신 시스템은 도시철도의 유/무선 및 화상통신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설비를 말하며 각종 설비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송하여 지하철 안전운전, 운영효율, 승객서비스 증진을 실현하기 위한 시설입니다.
차량운행 통신시스템
운전관리 통신설비 | 운영관리 통신설비 | 고객안내 통신설비 | 기타 통신설비 |
---|---|---|---|
- 열차무선설비 - CCTV설비 - 차량객실감시설비 |
- 디지털전송설비 - 전자교환설비 |
- 행선안내설비 - 자동안내방송설비 - 지하재방송설비 - 인터폰/콜폰설비 |
- 전원 및 접지설비 - 출입통제설비 |
통신설비 계통도

주요 통신설비
설비명 | 주요사진 | 주요특징 |
---|---|---|
열차무선 |
![]() |
-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한 중요한 통신수단으로 종합관제실과 열차간, 운전요원과 열차간, 휴대용 무전기와 유선전화 가입자간에 통화가 가능한 무선통신 설비입니다. |
CCTV |
![]() |
- 승강장 및 대합실 등 감시가 필요한 개소에 CCTV를 설치하여 현장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영상의 선택 및 녹화가 가능하도록 구축된 설비입니다. |
디지털전송 |
![]() |
- 통신망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설비로 지하철 안전운행을 위해 각종정보(Data, 음성, 영상)등을 전송하기 위한 회선을 구성하여 양질의 통신서비스 제공하는 설비입니다. |
전자교환 |
![]() |
- 관제실 및 역사 사무소 등에 설치되어 각 가입자간 신속하고 정확한 음성교환을 제공하는 설비입니다. |
행선안내 |
![]() |
- 승강장 및 대합실 등에 설치되어 열차의 발착, 운행일정 및 열차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설비입니다. |
자동안내방송 |
![]() |
- 역사 내 열차의 발착, 행선지 및 공지사항 등을 승객에게 알려주고 이례사항 발생시 관제센터에서 전체정거장 또는 개별역사를 선택하여 방송할 수 있는 설비입니다. |
지하재방송 |
![]() |
- 터널 및 지하구간에서 FM/DMB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로 방송수신 장애지역에 재난방송, 민방위경보의 원활한 수신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비입니다. |
인터폰/콜폰 |
![]() |
- 인터폰은 승강장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설비입니다. - 콜폰은 지하철을 이용하는 여성과 장애인 등을 위해 여성화장실 및 세면장, 장애인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이용객의 도움 요청시 대응할 수 있는 설비입니다. |
전원 및 접지 |
![]() |
- 통신설비 운영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설비로 정전시에도 최종 진행중인 업무를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전원보조 설비입니다. - 감전 등의 전기사고 예방 목적으로 도선으로 연결하여 장비의 위험 상태를 예방하는 설비입니다. |
출입통제 |
![]() |
- 종합사령실, 차량기지 및 역사 내 기능실 출입문에 설치하여 관계자외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설비입니다. |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 신호통신과
- 담당자 :
- 김대현
- 연락처 :
- 613-6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