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광역시

모바일메뉴 열기

광주광역시

주요현황

특성
무등산 서석대에서 바라 본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1년 12월 31일 기준, 면적 501.1㎢, 인구 1,462,545명(외국인 포함)으로 북동쪽으로 담양군, 북쪽으로 장성군, 서쪽으로 함평군, 남쪽으로 나주시, 남동쪽으로 화순군에 접한다. 서울·부산·대구·인천에 이어 국내 제5위를 차지하는 대도시이며, 호남지방(湖南地方) 최대의 도시이다. 행정구역은 5개 자치구에 97개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산지지역과 평야지대의 접촉지에 자리함으로써 군사·행정·교역상 좋은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시청 소재지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광주는 국토 서남권 산업경제 및 중추관리의 중심지로서 기능적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인접 시·군(나주, 담양, 화순, 함평, 장성)과 빛고을 중추도시생활권을 구성하여 중추업무, 교육 및 과학기술, 첨단산업, 문화, 서비스 기능 등의 연계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앞으로 광주는 광주 미래먹거리를 책임질 미래 모빌리티 MoT산업, 인공지능, 에너지·수소, 의료·헬스케어, 문화콘텐츠, 관광산업 등을 집중 육성하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새로운 광주시대로 발돋움해 나갈 예정이다.

기후

광주지방의 기후 특성은 서해안형과 내륙형의 중간형으로 대체로 서해안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이고 있다. 겨울에는 몽고부근에서 그 세력을 우리나라 쪽으로 확장하는 한랭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3한 4온의 날씨를 보이며, 여름에는 북태평양 동부에 중심을 두고 그 세력을 아시아쪽으로 확장하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더우나 초여름과 늦여름에는 장마기가 있어 호우에 의한 기상재해가 발생하며, 태풍은 연간 한두번 영향을 미친다. 봄과 가을에는 중국에서 이동하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건조하고 맑은 날이 많다.

2021년 연평균기온 15.1℃, 연평균 최고기온은 20.3℃를 기록하며 1973년 이후 가장 기온이 높았다. 계절별로는 봄철(3~5월)과 가을철(9~11월) 높은 기온을 기록함에 따라 2021년에도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 경향을 이어갔다. 또한 고온으로 인해 광주 벚꽃 개화일(3월 18일, 평년 대비 13일이 빠름)이 1939년 관측 이래 83년 만에 가장 빨랐다.
연중 총강수량은 1,303.8mm로 5월에는 대기 상층에 찬 공기가 위치하며 불안정으로 인한 낙뢰도 잦았으며, 3일에 한번 꼴로 비가 내렸다. 6월 북태평양고기압이 늦게 북상한 후 7월 빠른 속도로 확장하여 장마기간(17일/평년 31.4일)이 역대 다섯 번째로 짧았다.

연평균기온

(단위: ℃)

이표는 광주광역시의 2011년~2021년 연중, 1월부터 12월까지의 평균기온,최고기온,최저기온을 나타냅니다.
구 분 연중 1 2 3 4 5 6 7 8 9 10 11 12
2011 평균기온 13.7 -3.4 3.1 5.3 12.2 19.0 23.3 26.5 25.9 22.7 15.4 12.6 2.2
최고기온 35.3 4.2 17.5 21.0 25.6 30.6 33.1 35.3 35.2 33.3 27.7 27.1 12.3
최저기온 -11.7 -11.7 -7.5 -4.1 1.8 8.4 15.3 19.2 17.9 12.8 2.9 -1.2 -6.3
2012 평균기온 13.7 0.4 0.4 6.5 13.6 20.0 23.4 26.4 27.6 21.3 15.9 8.1 0.4
최고기온 37.7 11.1 14.9 20.5 28.5 31.6 31.8 35.2 37.7 31.4 26.7 18.8 12.0
최저기온 -10.2 -9.7 -9.7 -3.5 0.8 10.4 15.6 20.5 18.8 14.3 4.6 -0.6 -10.2
2013 평균기온 14.2 0.0 2.0 7.6 11.4 19.1 23.9 27.1 28.4 22.6 16.8 8.6 2.9
최고기온 36.2 15.4 19.8 26.8 25.0 32.1 32.8 33.5 36.2 32.1 29.8 23.8 14.0
최저기온 -10.3 -10.3 -9.7 -3.4 0.0 6.6 15.3 22.3 19.7 11.7 5.1 -2.0 -5.0
2014 평균기온 14.3 2.1 4.2 8.6 14.5 19.2 22.9 25.2 24.4 22.3 16.4 10.3 1.2
최고기온 36.5 14.2 20.5 26.2 28.0 33.5 32.1 36.5 32.3 31.2 29.1 19.2 11.6
최저기온 -7.3 -7.3 -6.6 -2.8 4.1 7.0 16.5 17.7 18.4 16.7 5.3 0.3 -6.7
2015 평균기온 14.6 1.7 3.0 8.0 13.9 19.4 22.5 25.4 26.0 22.0 16.9 11.6 5.3
최고기온 36.2 12.2 13.3 23.3 28.2 33.1 31.9 34.2 36.2 30.6 26.9 21.6 15.8
최저기온 -8.7 -8.3 -8.7 -4.1 4.3 6.5 13.9 17.6 19.1 14.9 4.8 -0.2 -3.5
2016 평균기온 15.0 0.9 3.3 8.4 15.5 19.8 23.0 26.9 27.8 23.0 17.2 9.6 4.7
최고기온 37.2 13.7 19.8 22.9 27.4 31.1 31.5 36 37.2 33 31.1 21.9 17.3
최저기온 -11.7 -11.7 -5.9 -4.3 7.1 10 14.7 20.1 16.6 15.6 5.9 -0.5 -4.6
2017 평균기온 14.6 2.0 2.9 7.4 15.1 19.8 23.1 27.8 27.0 22.4 17.0 8.8 1.9
최고기온 37.3 14.8 15.7 20.6 30.4 33.0 34.1 35.4 37.3 31.1 29.5 21.3 13.6
최저기온 -7.9 -7.9 -5.3 -2.4 3.5 10.7 13.7 22.5 17.7 11.5 3.4 -0.8 -7.2
2018 평균기온 14.6 -0.2 1.8 10 15.1 19.5 23.6 28.3 28.4 21.6 14.5 9.9 3.2
최고기온 38.5 11.4 15.9 24.8 30.2 31.1 34.5 38.5 38.5 29.7 25.4 21.0 19.8
최저기온 -11.5 -11.5 -10.0 -3.1 1.1 7.8 15.7 20.4 20.6 11.6 5.6 0.4 -7.0
2019 평균기온 14.7 1.8 3.6 8.4 13.0 19.2 22.0 25.3 27.0 22.9 17.1 10.8 4.8
최고기온 34.8 10.5 15.6 20.7 27.9 30.7 31.7 32.9 34.8 30.6 28.4 22.9 16.3
최저기온 -5.9 -5.9 -4.9 -0.6 0.9 6.8 13.5 19.1 20.1 13.7 6.7 0.1 -5.0
2020 평균기온 14.5 4.6 5.3 9.0 11.5 18.8 23.6 23.4 27.6 21.3 15.7 10.5 2.7
최고기온 34.4 17.7 19.8 23.3 25.6 30.1 33.7 31.6 34.4 31.1 26.2 23.6 13.8
최저기온 -8.9 -4.9 -7.0 2.2 1.6 10.4 14.2 17.8 23.0 13.0 6.5 0.7 -8.9
2021 평균기온 15.1 1.4 5.1 10.6 14.9 18.4 23.3 27 25.8 22.9 17.2 10.2 4.1
최고기온 31.4 6.4 10.7 17 20.9 24 28.3 31.4 30.3 27.2 22.7 15.8 9.4
최저기온 -2.6 -2.6 0.4 5.6 9.7 13.4 19.2 23.6 22.5 19.5 12.8 5.8 0

※ 자 료 : 광주지방기상청

연평균 강수량

(단위: ㎜)

이표는 2011년 1월~12월에서 2021년 1월~12월까지 광주광역시의 연평균 강수량과 연중총량을 나타냅니다
구분 연 중 총 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1 1,300.3 7.4 59.8 23.1 103.0 142.9 120.0 277.5 382.5 13.5 20.5 136.8 13.3
2012 1,626.8 15.2 18.6 100.4 82.5 42.6 83.1 330.6 473.5 272.0 82.8 45.9 79.6
2013 1,245.4 20.6 48.0 76.9 54.9 86.5 83.7 349.1 293.2 88.5 30.8 95.0 18.2
2014 1,290.3 12.9 8.6 101.7 62.5 57.0 72.0 240.9 370.2 116.5 105.0 95.5 47.5
2015 1,049.6 47.2 23.9 36.5 145.5 48.6 96.1 164.3 148.9 66.6 90.9 121.9 59.2
2016 1,482.3 49.7 45.2 55.2 185.0 104.5 116.1 301.3 81.0 251.2 216.7 31.5 44.9
2017 936.6 11.7 41.9 33.2 60.6 30.2 42.1 211.6 280.5 108.8 85.4 2.1 28.5
2018 1,427.9 38.8 22.0 115.8 127.4 85.4 222.4 84.5 397.1 129.7 125.2 47.2 32.4
2019 1,085.9 16.4 37.0 33.9 84.7 78.8 158.0 242.2 64.8 165.8 149.9 22.8 31.6
2020 2,027.0 74.9 47.8 43.5 55.3 96.8 199.9 533.3 738.1 178.3 12.1 28.3 18.7
2021 1,303.8 33 31.1 122.4 34.2 139.4 118.1 227.6 338.7 131.1 35.3 85.8 7.1

※ 자 료 : 광주지방기상청

위치

광주광역시의 위치는 우선 경위도상의 위치를 뜻하며, 때때로 절대적 위치로도 일컬어지는 수리적 위치로 살펴보면, 광주는 동서로 동경 126°38′30″∼127°1′9″ 사이와 남북으로 북위 35°3′3″∼35°15′3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광주의 가장 동쪽 지점인 극동(極東)은 동경127°1′9″와 북위 35°10′16″로 북구 충효동 버성골의 동부이며,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과의 경계지점이다. 시의 극서(極西)는 동경 126°38′30″와 북위 35°8′48″인 광산구 양동 석암 마을로, 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광주의 극남(極南)은 북위 35°3′3″와 동경 126°48′26″인 남구 구소동으로, 전라남도 나주군 산포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지점이다. 시의 극북(極北)은 북위 35°15′31″과 동경 126°45′26″인 광산구 광산동으로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지점이다.
따라서 광주광역시의 동단인 북구 충효동 버성골에서 서단인 광산구 양동 석암 마을까지의 동서간의 거리는 34.4km에 이르고, 북단인 광산구 광산동에서 남단인 남구 승촌동까지의 남북간의 거리는 23.1km에 달한다. 따라서 광주는 동서가 약간 긴 장방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광주의 중심으로 알려져 있는 충장로 5가는 북위 35°09′과 동경 126°55′의 교차점에 자리 잡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경위도 위치
이표는 광주광역시의 경위도 위치를 시청 소재지, 4극단, 경도와 위도의 극점(지명,극점), 연장거리으로 구분하여 나타냅니다
시청 소재지 4극단 경도와 위도의 극점 연장거리
지명 극점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서구 치평동 1200>
동단 북구 충효동 북북위 35° 10′16″ / 동경 127°1′9″ 동서간 34.3㎞
서단 광산구 양동 북위 35° 8′48″ / 동경 126°38′30″
남단 남구 승촌동 북위 35° 3′ 3″ / 동경 126°48′26″ 남북간 23.1㎞
북단 광산구 광산동 북위 35° 15′31″ / 동경 126°45′26″

※ 자료출처: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광주광역시는 우리나라 서남부에 자리 잡고 있는 호남지방의 중앙에 위치한 도시이다. 다시 말해 광주는 전라남도는 물론이고 전라북도를 포함하는 광역 중심도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아울러 광주는 소백산맥을 사이에 두고 영남지방의 중심 도시들에 대응하는 호남지방의 중심도시로서의 위치성을 지니고 있다. 나아가 지정학적으로 광주는 동아시아의 중심부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어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중국과 일본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최고의 중심지로서의 잠재력을 갖고 있다.

태백산맥에서 분기한 소백산맥이 내장산·추월산·무등산·월출산 등으로 이어지면서 광주광역시 전체를 동쪽으로 감싸고 있다. 시의 남동쪽에 자리 잡고 있는 무등산(無等山,1,187m)과 북서쪽의 어등산을 비롯하여 동쪽의 삼각산과 남쪽의 건지산, 북서쪽의 용진산 그리고 서쪽의 망산이 병풍을 이루는 분지 지형이다. 풍화와 침식에 의해 형성된 구릉성 산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남동쪽은 무등산에서 뻗어 내린 산지와 구릉으로 돌려있고, 북서쪽은 전남평야(즉, 나주평야)를 향하여 열려 있다.

영산강과 그 지류인 황룡강과 광주천 등의 광주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충적평야와 평탄지를 형성하고 있다.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광주 시가지를 관류하는 광주천은 서북쪽으로 흐르다가 서부 경계지대에서 광주 시가지의 북동쪽에서 남서쪽 방향으로 흐르는 영상강의 본류인 극락강과 합류하고, 장성에서 발원하여 흘러내리는 황룡강과 송정 남쪽에서 만나 영산강으로 흘러든다. 화순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는 지석강은 시역의 남쪽에서 영산강과 합류하여 나주시로 흘러 들어간다. 이 밖에도 동계천·서방천·용봉천·석곡천 등이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시역을 흐르고 있다.

지리적 위치, 곧 한 지역의 타 지역에 대한 지표면상의 상대적 배치상태를 뜻하며, 타 지역과의 기하학적 또는 지리적 거리가 중요한 평가요소로 꼽히는 위치를 살펴보면, 광주광역시는 먼저 동부의 산지와 서부의 평야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두 지역의 점이지대로서, 이들 두 지역 간의 생산이나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또한 행정과 정치, 그리고 문화의 중심지로서 발전할 수 있었다.

광주광역시는 전남지역 전체는 물론이고 전북의 남원과 순창·정읍·고창을 포함한 한반도 서남권의 광역 중심도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광주는 전남지역의 중앙보다 약간 북쪽에 치우쳐 위치하고 있지만, 호남지방 전체로 보아서는 대략 중앙에 자리 잡고 있어 북쪽인 전라북도의 일부 지방까지 포함하여 이 지방의 경제·행정·교육·문화의 중심거점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광주의 호남지방의 중심지적 위치는 도로 교통망이나 인구분포 그리고 산업활동 등의 측면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는데, 광주를 기점으로 하여 주변 각 방향으로 연결선을 그어 보면, 대체적으로 광주가 그 중심부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광주∼목포 방향은 나주·함평·무안으로 이어지는데, 농업지대를 관통하며 인구 조밀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광주∼완도 방향은 나주·영암·강진·해남 등으로 연결되며, 농수산물이 풍부하게 산출되는 지대이다. 다음으로 광주∼여수 방향은 중간에 화순과 순천 등으로 연결되며, 특히 여천공단과 광양공단을 거쳐 영남의 남부지역과 연결되고 남해안 일대 수산자원의 유입에서 중요한 방향이다. 광주∼영광 방향은 광산구의 산업단지와 농업 생산물이 풍부한 지대를 관통한다. 이곳은 낮은 평야지대로 연속되고 인구밀도도 조밀한 지역이어서 광주 농산물의 공급지 혹은 공업지대로의 확장 가능성을 지닌 지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광주∼전주 방향은 중간에 장성과 정읍으로 연결되며, 특히 호남고속도로를 통하여 호남의 북부지역, 즉 전라북도까지 광주의 영향권으로 들어오게 한다. 광주∼남원 방향은 담양과 순창을 거치는데, 광주∼목포 방향과 대칭 관계에 놓여 있으나 주로 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경지나 인구가 적어 광주∼목포 방향보다 역할이나 기능이 크지 않다. 마지막으로 광주∼구례 방향은 섬진강 연안지대에 광주의 상권이 미치고 있다.

광주와 그 배후지와의 거리를 살펴보면, 광주에서 목포가81km, 순천이84km, 여수가124km, 전주가91km에 이르고, 대부분의 주요 도시들도 100km 내외의 범위 안에 놓여 있다. 이 밖에도 화순읍이 12km로 가까운 거리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나주시와 장성읍 그리고 담양읍 등이 함꼐 광주의 위성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광주는 호남지방의 일곱 개 방향의 거점 중추도시로서 이들 방향의 배후지로부터 상업과 금융·정보·행정·교육·관광·공업 등을 발전시켜 왔고, 그 영향력은 호남권 전역에 미친다(건설부 국토지리원, 1986, 한국지지 지방편Ⅳ).

호남지방의 중앙에 위치한 광주광역시는 소백산맥을 사이에 두고 한반도 동부의 부산과 대구 그리고 울산 등 영남지방의 중심 도시들과 국토공간에서 대응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광주는 국토 3각 거점의 한 정점을 이루며, 서남권의 중핵으로서의 위치를 지니고 있다. 광주는 서울과 270km, 부산과 211km, 대구와 189km, 제주와 187km가량 떨어져 있으며, 전국 주요 도시로부터 항공·철도·고속도로를 이용하여 2∼4시간대에 접근할 수 있는 거리에 놓여 있다. 또한, 항공은 물론이고 철도와 고속도로 그리고 여러 국도 노선이 교차하고 있는 교통의 결절지로서 호남권 방문의 관문 및 거점이 되고 있다. 광주는 각 지역을 잇는 도로망이 잘 갖추어져 있는데, 국도와 지방도로를 통해 가까운 도시들과 연결되고, 호남고속국도를 통해 대전과 서울로 연결되며, 순천을 거치는 남해고속국도를 통해 부산, 그리고 88올림픽고속국도를 통해 대구와도 연결되고 있다. 철도는 호남선과 경전선을 통해 서울과 충청, 경상 지방과 연결되고 있다.

나아가 광주광역시는 한 지역의 타 지역에 대한 정치경제적 관계를 뜻하는 관계적 위치의 측면에서 무궁한 발전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광주는 산지지역과 평야지대의 접촉지대에 위치함으로써 군사·행정·교역상 양호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인 1914년에 개통된 호남선이 광주를 피하여 영산강 서안을 따라 부설되면서 우리나라의 경제 중심권과 크게 멀어졌다. 아울러 1960년대 이후에도 광주는 우리 사회와 국토공간을 근본적으로 뒤바꾸어 놓은 중앙집권적 관료화와 산업화 그리고 도시화 등으로 표현되는 이른바 근대화 과정에서 변화와 성정의 물결에서 빗겨 선 채 낙후와 정체의 악순환을 거듭해 왔다(국토지리정보원, 2004, ‘한국지리지’ 전라·제주편). 그러나 광주광역시는 예로부터 호남지방의 거점을 이루어 온 역사를 바탕으로 하여 행정 및 기업관리 기능을 집중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호남평야의 곡창지대와 임해공업지대 및 수산업지대를 배후지로 갖고 있어 호남 경제권의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새롭게 굳혀 나가고 있다.

광주는 또한 지정학적 또는 지경학적 위치 측면에서 동아시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최고의 중심지로서의 발전 잠재력을 갖고 있다. 광주는 러시아와 중국 등의 대륙과 일본과 동남아시아 지역을 연결하는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해양으로의 진출이 용이한 뛰어난 대외적 접근성을 지니고 있어 향후 동아시아 거점 도시로서의 성장 가능성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영역

조선시대 말기 광주 읍성의 동헌은 옛 전남도청에 위치하였고, 읍성은 대체적으로 오늘날의 전남여고와 구 전남도청, 황금동 사거리 그리고 충장로 파출소를 잇는 선(線) 내였으며, 그 면적은 1㎢미만에 지나지 않았다. 1917년 광주면의 면적은 약 2㎢이었으며, 1931년 광주가 읍으로 승격하면서 그 면적은 약 4.5㎢이었다. 1935년 광주가 광주부로 개편되면서, 그 면적은 19㎢로 크게 확대되었다. 광복 이후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1949년 지방자치제가 처음 실시됨에 따라 광주부는 광주시로 개칭되고, 1955년 시역 확장에 따라 광주의 면적은 155.01㎢로 크게 늘어났다. 광주는 다시 1957년에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시역을 279.11㎢로 대폭적으로 확장하였으나, 1963년 서창지역과 대촌지역이 전라남도 광산군으로 환원·편입되면서 그 면적이 213.35㎢로 축소되기도 하였다. 1986년 11월 광주는 부산·대구·인천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직할시로 승격하였다. 당시 광주의 행정구역 면적은 215.11㎢에 지나지 않았으나, 1987년 11월 전라남도 송정시와 광산군을 편입함으로써 그 면적은 500.73㎢로 크게 확대하였다. 2021년 12월말 기준 501.1㎢에 이르게 되었다.

광주광역시 행정구역의 구성
이표는 광주광역시 행정구역의 구성을 구별, 면적(㎢), 동(법정동,행정동), 통, 반 으로 나타냅니다.
구별 면적(㎢)
법정동 행정동
전체 501.1 202 97 2,452 12,062
동구 49.31 34 13 197 1,112
서구 47.76 18 18 421 2,242
남구 60.99 30 17 439 1,978
북구 120.27 41 28 612 3,406
광산구 222.79 79 21 783 3,324

※ 자료출처 :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2021년말 기준)
※ 면적은 각각 반올림된 경우 합계가 다를 수 있음.

자료관리 담당자
담당부서 :
정책기획관
담당자 :
남인제
연락처 :
613-2863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