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개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의 이념인 신新인본도시를 구현하고, 아시아문화의 상상력과 첨단기술을 결합하여 아시아문화의 허브역할을 담당하는 핵심시설입니다. 또한 아시아문화를 교류하고 창조하며 연구,교육,향유하는 문화발전소가 되어 문화선진국 대한민국의 얼굴이자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의 상징으로 발돋움할 것입니다.
- 의의 : 아시아 문화 교류의 중심, 문화중심도시의 핵심 거점 시설
- 근거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제27조
- 성격 : 국가기관(문화체육관광부 소속)
- 설계 : "빛의 숲" (설계자 : 우규승, 국제건축설계경기 당선작)
- 위치 :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구 전남도청 일원)
- 규모 : 부지면적 120,075㎡, 연면적 139,179㎡
- 사업기간 : 2004 ~ 2014
- 총사업비 : 7,162억원(국비)
- 사업내용 : 5개원 13개센터 건립
- 민주평화교류원, 아시아정보원, 문화창조원, 아시아예술극장, 어린이문화원
기본방향
민주·인권·평화 정신의 산실
- 광주의 역사적·정신적 중심인 구 전남도청과 그 주변에 아시아문화전당을 건립하여 민주·인권·평화의 정신을 상징적으로 구현
- 각종 프로그램의 개발 · 실행을 통하여 민주 · 인권 · 평화의 정신을 소통과 상생의 정신으로 승화
아시아문화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문화발전소
- 아시아 문화의 연구 · 개발 및 확산을 통하여 아시아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이를 문화자원으로 활용하여 아시아 동반 성장을 도모
-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문화들이 자유롭게 교류함으로써 새로운 창의적 에너지와 문화적 역량이 분출, 강화되는 계기 마련
최첨단의 복합문화시설
- 21세기 문화의 시대에 대응하는 국제적 수준의 문화시설 건립을 통해 문화선진국으로서의 국가위상 정립 및 국가이미지 제고
- 창작·전시·공연 활동 등이 최첨단의 기술과 결합되어 함께 어우러지는 아시아문화를 테마로 한 복합문화시설로 기능
문화도시의 핵심기반 시설
- 전당에서 생성된 문화에너지를 광주지역뿐 아니라, 전국 및 아시아를 배경으로 세계전역으로 확산
- 첨단 정보통신기술과 결합한 물리적·사회적 인프라 구축을 통해 문화중심도시 네트워크의 핵심 거점 역할 수행
추진경과 및 일정
- 건축설계 국제공모 당선작 선정(빛의 숲) : ‘05. 12
- 전당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 ‘07. 12
- 전당건립사업 기공식 : ’08. 6
- 도청별관 보존 주장(5·18단체)으로 공사 중단 : ‘08. 12
- 별관건물 구조정밀안전진단 실시 : ‘09.10~12
- 별관보존방식 정부 최종안 발표 : ‘10. 12
- - 별관 54m 중 30m 보존, 24m 강구조물 형태 유지
- 어린이문화원을 제외한 4개원 외부골조공사 완료 : ’11. 12
- 어린이문화원 터파기공사 착수 : 2012. 1. 1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공사 장기5차 공사 착공 : 2012. 1.25
- 보존건물 리모델링공사 착수 : 2012.11.20
- 주요 4개원에 대한 외부마감공사 완료 : 2012.12.26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공사 장기6차 공사 착공 : 2013. 1.21
- 민주의 종각 복원공사 착공 : 2013. 8.27
- 문화재(광주읍성) 복원공사 착공 : 2013.11.29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공사 장기6차 공사 준공 : 2013.12.24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준공 완료(건축, 기계, 정보통신) : 2014.10.31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보존건물 공사 재개 : 2014.11.10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준공 완료(전기공사) : 2014.12.24
- 문화전당 프레개관 : '15. 7. 3~12
- 외곽주차장(구 광주여고) 공사 착공 : '15. 9
- 문화전당 부분개관 및 개관축제 : '15. 9.4~21
- 문화전당 공식개관 : '15. 11. 25
운영원리

문화전당의 구성 원칙
아시아문화의 허브
- 아시아문화의 교류와 창조,연구,교육 및 향유기능이 결집된 융합적 순환구조를 통하여 확산되는 아시아문화의 허브 역할
문화중심도시 네트워크의 핵심 거점
- 전당에서 생산된 문화에너지가 확산, 도시 전체의 문화 자생력 향상
- 문화전당을 중심으로 문화권 → 문화터 → 문화방 등 네트워크 형성
전당의 장소마케팅을 통한 도심 활성화
- 전당은 자연·인간 친화적인 첨단 문화공간으로 랜드마크 기능
- 전당에서 생산되는 공연·전시·교육 등의 프로그램은 시민의 문화 향유를 증대하고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 효과
산업화의 거점
- 전당 내 문화산업 정보·인프라를 주축으로 광주 문화산업 클러스터, 광주·전남혁신도시와의 연계를 통한 문화 산업 육성 거점 기능
중점가치 및 시설의 도출
- 가치
- 내용
- 시설
- 광주 정신 5.18민주화운동
- 민주 인권 평화의 광주 정신을
아시아에 전파 - 민주평화교류원
- 아시아 문화정체성
- 아시아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함께 체험
- 민주평화교류원
- 아시아 동반 성장
- 공연·전시·문화산업·관광
마케팅을 통해 아시아 동반성장 - 민주평화교류원
- 미래지향성
- 어린이 교육문화 콘텐츠를
통해 미래에 대한 대비 - 민주평화교류원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 문화도시정책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