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메뉴 열기

지역경제 역량 강화와 광주형 일자리 창조

광주광역시 산업·경제
지역 고객센터 육성 산업
고객센터 개념
  • 기업이 고객을 대상으로 정보안내, 고객의 문의, 고객의 불만접수 및 처리 등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업의 On/Off-Line상의 채널
  • 컨텍센터,콜센터,고객센터 등 업종이나 업체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사용
  • 산업별, 기업별로 콜센터, 고객센터, 고객상담실, 소비자보호실, 민원실 등 각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전 산업 분야로 확산
  • 전화 및 IT를 활용해 고객이 원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 (고객상담, 주문접수, 상담안내 등)
  • 인터넷(IP기반) 멀티채널 업무 수행(해피콜, 고객안내, 상품유치 등)
  • 인바운드 : 고객으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받아서 처리하는 업무
  • 아웃바운드 : 마케팅을 하기 위해 고객에게 전화를 거는 업무
고객센터의 중요성
  • 시장경쟁의 심화로 고객밀착경영의 필요성 증가
  • 고객센터 숫자의 증가 및 확산
  • 상위 경영진의 고객센터에 대한 시각의 변화
  • 고객센터 자체 시장 규모의 급팽창
고객센터의 역할
  • 고객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업과 고객의 접점 기점 역할
  • 소비트랜드, 소비자 성향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해 기업에 제공하는 전문영역
  • 기업의 시장경영의 심화 상황에서 고객감동 서비스로 기업 경쟁력 선도
고객센터 상담사의 역할
  • 마케팅 캠페인 실행 채널관리자
  • 영업/판매 기회 창출자
  • Data 수집 채널로서의 정보관리자
  • 고객 지원 및 서비스 전문 Agent
  • 기업 Intelligence 센터로서의 지식관리자
고객센터 전망 및 상담사의 비전
  • 소비자분야의 주요 축을 담당하는 유망한 그린서비스 산업의 대표직종 고객센터 시장은 매출 10조7308억원, 종사자 23만7474명 [2020 컨텍센터 산업총람]
  • 단순한 서비스기능에서 기업의 이미지를 높여주는 전문 agent 및 지식서비스 산업
  • 능력개발을 통해 중간관리자(슈퍼바이저, 사내강사), 일반관리자(매니저), 센터장, 컨설턴트, 전문강사, 교수 등으로 활동
광주광역시 고객센터 육성 정책
  • 다양한 분야의 우수기업 유치활동을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
  • 지역 고객센터 운영 지원 및 제반활동
  • 지역 고객센터 기업 육성 활성화 도모 행사
  • 지역 고객센터 종사자 감정노동 힐링 케어
  • 예비 상담사 인력양성 및 재직자 역량강화 교육
광주지역 고객센터 현황

(2021년 8월 기준)

업종별 현황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분야별,센터수,규모(석),고용(명),비고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분야별 센터수 규모(석) 고용(명) 비고
통신 11 2,284 1,998
전자 2 724 323
보험 36 3,864 3,001
금융 7 1,229 883
공기업 10 756 677
방송/언론 3 91 81
병원/의료 3 69 64
기타 3 108 75
합계 75 9,125 7,102
자료관리 담당자
담당부서 :
일자리정책관
담당자 :
이종숙
연락처 :
613-3834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