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가 확
바뀌고 있습니다.
광주의 미래지도를 바꿀
6대 핵심사업
기업의 산실, 광주의 산업단지가 확 바뀝니다!
추진배경
-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미래지역산업의 비전을 체계화하고 혁신적 산업 생 태계를 조성하여 국내외 기업에 매력적인 투자환경 조성
지정개요
- 위치 및 면적 : 4개 지구, 4.371㎢(132만평)
미래형자동차 산업지구 |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 Ⅰ |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 Ⅱ | AI 융복합지구 |
---|---|---|---|
빛그린국가산단 (광산구) | 에너지밸리일반산단 (남 구) | 도첨국가산단 (남 구) | 첨단3지구 (북구, 광산구) |
1.847㎢(56만평) | 0.932㎢(28만평) | 0.486㎢(15만평) | 1.106㎢(33만평) |
- 비전 : “상생과 AI기반 융복합 신산업 허브”
- 컨셉 : AI기반 산업고도화 및 혁신성장, 광주형 일자리를 통한 투자유치
- 중점유치산업 : AI, 미래형 자동차, 스마트 에너지, 생체의료
경제적 파급효과
- 광주경제자유구역 조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 10조 3,641억원, 부가가치 3조 2,440억원, 취업 57,496명으로 추정
인센티브 현황
- [외국인투자 인센티브] 조세감면, 규제특례, 입지지원 등 제공
- [개발사업] 국내외 개발사업자에게 개발절차 및 규제 특례 제공
사 업 명
광주 산업단지 중심의 지역 일자리거점 혁신계획
위 치
광주첨단과학산단(거점) + 하남․ 빛그린산단(연계)
주요내용 : 스마트산단조성,제조혁신,인재양성,스마트환경조성등
- (첨단국가산단) 스마트산단 조성 및 제조혁신기반 구축, 스마트 인력 양성
- (하남산단)제조업근간인뿌리산업육성및거점과연계스마트공장확산
- (빛그린산단) 완성차 조립 거점 및 친환경 부품클러스터 조성 추진
사업기간
2021 ∼ 2023 (3년간)
총사업비 : 7,657억원(국비2,337,시비1,616,민자3,704)
- 금회(1차) 추진사업 : 7건 694억원 (국비 457, 시비 214, 민자 23)
- 추후(2차) 검토사업 : 17건 1,497억원(국 747, 시 485, 민 265)
- 연계사업(기추진중) :9건 5,446억원(국 1,133, 시 917, 민 3,416)
광주의 미래 먹거리산업이 쑥쑥 성장하고 있습니다.
개념
사회적 대화 기반의 노사민정 대타협을 바탕으로 기존의 대립적 노사관계를 탈피하여 협력적 노사관계를 구현하는 새로운 사회 통합형·연대형 일자리 모델
의의
한국경제가 직면한 고비용· 저효율 구조와 대립적 노사 관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상생형 지역일자리 전국 확산을 통해 한국경제 재도약의 계기 마련
광주형 일자리 첫 번째 모델 ‘자동차 공장 건립 사업’

- 광주형일자리 자동차 공장사업 개요 및 추진현황
- 위 치 : 빛그린 국가산업단지 일원(약 18.3만평)
- 투자규모 : 약 5,754억원(자기자본 2,300/ 타인자본 3,454)
* 자기자본 비중 : 광주시 21%(483억원), 현대차 19%(437억원). 그 외 60%(1,380억원) - 생산차종 : 경형SUV / 생산규모 : 연 10만대 / 고용인원 : 정규직 약1,000여명
- 추진현황 : ㈜광주글로벌모터스 설립(’19.9.20) / 착공(’19.12.26) / 공정율 22.8%(’20.6.1.기준 )
기대효과
적정임금과 안정적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완성차 공장을 설립함으로서 지역 자동차 산업 재도약의 모멘텀을 마련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및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
위치
첨단3지구 연구교육단지 內(20만평)
사업기간
2020. ~ 2029.(10년)
- (1단계) 2020.∼2024.(5년간) (2단계) 2025.∼2029.(5년간)사 업 비
1조원(국비 0.7 지방비 0.2 민자 0.1)
- (1단계 금회확정) 4,061억원(국비2,843 지방비 816 민자 402) - (2단계 향후계획) 5,939억원(국비 4,157 지방비 1,184 민자 598)사업내용
기반인프라 구축, 산업융합 R&D, AI창업 보육지원
1청정 대기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
기간/위치
2020 ~ 2022년 / 광산구 덕림 ․삼거동 일대(빛그린산단 내)
주관/시행
환경부 (국가직접사업)
총사업비
450억원 (국비) / 제3차 추경 20억 반영(설계비)
사업내용
청정대기산업 육성․지원을 위한 실증인프라 구축
- (실증화시설) 환경오염배출원(산업‧수송분야)별 테스트베드, 측정기기 실증화 등 - (진흥시설) 스마트 융‧복합센터, 연구센터 등2친환경 공기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
기간
2020. ~ 2027.
총사업비
7,190억원 (국 4,332 시 1,250, 민 1,608)
* 중앙정부 예비타당성 대상사업 선정(20. 3) 선정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사업내용
공기산업 핵심 부품 원천기술 개발, 실증평가체계 구축
- (연구개발 R&D) 新산업 원천기술개발, 시장선도 제품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첨단 ICT융합 기술개발(AI·IoT·빅데이터·모빌리티) - (생태계 및 인프라) 공기질 개선 실증테스트베드 구축, 고정밀 측정·분석 장비, 산업기반 클러스터 구축중점산업
(공통) 스마트그리드 , (광주) 에너지효율향상 , (전남) 풍력
공간범위
18.92㎢ (공통) 빛그린산단, 첨단산단
발전방향
① 기업 및 투자유치 정책과 연계한 융복합단지 집적화
② 연구기반과 연계한 융복합단지 기술고도화 등
지정혜택
중점산업 연구개발 활성화 , 중점산업간 교류·사업화 , 경비 지원
기대효과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허브 도시 이미지 제고
- (광주) 일자리 2,200명, 기업유치 110개, 생산유발표과 7,200억원 - (광주전남) 일자리 6,577명, 기업유치 415개, 에너지 자립률 40%(‘25년)- 담당부서 :
- 정책기획관
- 담당자 :
- 박소민
- 연락처 :
- 613-2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