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성개요
2000년부터 광산업을 지역전략산업 진흥차원에서 육성, 첨단과학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산·학·연 기능이 집적화된 국제적인 광산업 클러스터 형성
- 지역전략산업 단계별 육성 지원(’00~’12, 8,447억원)
- 1단계(’00~’03, 4,020억원) : 인프라 중심의 집적화 단지 조성
- 한국광기술원 건립, 광통신부품 시험시스템 구축, 연구개발 장비 구축 등
- 2단계(’04~’08, 3,863억원) : 특화분야(광통신, LED)의 상업화 지원
- 반도체광원시험생산지원, 광통신부품시제품생산지원, 광부품 시험·인증기반, 인력양성,해외마케팅 등 18개 사업
- 3단계(’09~’12, 564억원) : 차세대 광기반 융합산업 육성
- 차세대 광기반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글로벌마케팅, 인력양성 등 5개 사업
- 호남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 지원(’09~’15, 1,244억원)
- 1단계(’09.6~’12.4, 494억원) : 친환경 광기술기반 융합부품·소재산업의 선도 및 글로벌화
- 24개 과제, 75개 기업·기관 참여, 1단계 프로젝트 평가결과 전국 최우수등급 성과
- 2단계(’12.5~’15.4, 750억원 지원중) : 대표 주력산업으로 광융복합 산업(광부품 및 시스템, 신광원조명), 미래성장산업으로 태양광(소재)분야 선정 다양한 광융복합 기술개발 착수
- 1차년도(’12.6~’13.4) : 광융복합(광부품 및 시스템, 신광원조명) 166억원, 태양광 83억원 투입, 광융복합 분야 30개 과제, 태양광 분야 7개 과제 추진
지원성과
광산업은 자동차·가전산업에 이어 지역 3대 주력산업으로 확고한 위상 정립
(단위 : 억원, 명, 개사, %)
구분 | 1999 (육성이전) |
2003 (1단계완료) |
2008 (2단계완료) |
2012 (3단계완료)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매출액 (억원) | 1,136 | 3,234 | 13,079 | 25,904 | 27,105 | 23,626 | 22,507 | 21,471 | 22,705 | 23,005 |
고용인원 (명) | 1,896 | 2,834 | 6,018 | 8,242 | 8,445 | 6,799 | 6,925 | 7,133 | 7,513 | 7,584 |
업체수 (개) | 47 | 190 | 327 | 360 | 360 | 306 | 288 | 273 | 276 | 280 |
연구·지원 인프라 구축 및 기업지원 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국제적 광산업 클러스터로 부상
Technology 인프라
한국광기술원을 비롯한 고등광기술연구소, 전자부품연구원, 생기원호남본부, ETRI호남센터, 한국광산업진흥회 등 국가 광산업 발전 추진체 집적화
Human 인프라
한국광기술원 등 광 전문연구기관의 전문연구인력(580명 이상) 상주
현장 인력 배출을 위한 대학원~공고 인력양성시스템 구축 및 전공학과 운영 인력 배출
Land 인프라
광산업집적화단지(26만㎡)와 LED밸리(31만㎡)를 조성하여 300여개사를 집적화
지역산업 육성사업 중 성공사례로 평가
- 2004년 5월 감사원 감사시 4대 지역산업진흥사업(광주 광, 대구 섬유, 부산 신발, 경남 기계)중 성공사례로 발표
- 2006년 2월 산업정책연구원과 조선일보가 주관한 2005년 지역산업정책평가에서 대상 수상
- 2011년 8월 기획재정부가 “지역혁신 클러스터 성공요인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광주의 광산업 클러스터를 지방에서 발전의 주도권을 갖고 추진한 대표적 성공사례로 평가
- 2011년 9월 “지역발전주간행사”에서 광산업클러스터 육성시책의 성공적 추진에 대한 평가로 대상인 대통령상 수상
- 2012년 11월 지역산업 경제발전효과 분석결과 지방에서 주도적으로 육성계획을 수립, 타지역과 차별화된 산업을 선정해 입지 경쟁을 피하며 정책역량을 집중한 점에 “우수” 평가
역점 추진정책
- 광기반 융복합산업 및 광기반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 호남권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을 통해 광응용센서 및 통신시스템, 광융합부품 및 기기, 일반/산업용 조명, 융·복합 조명, 소재중심 태양광산업 등 광기반 융복합 기술개발
- 신성장동력산업으로 광분야 3D융합산업 육성을 통해 제품상용화, 기업지원 서비스 강화 추진
- 광통신, LED 등 주력분야 고도화
- LED융합산업 허브구축사업, LED조명실증단지 조성·운영, LED광소자 그랜드컨소시엄,
LED 시스템조명 기술개발, 지역산업기반 IT융합기술 생산지원 기반구축 등 추진 - 차세대 유망분야(초정밀광학, 레이저, OLED 등) 발굴·육성
- 적외선광학렌즈 기술개발 및 산업화지원, 야간 투시카메라용 적외선광학렌즈 칼코겐유리
개발, 산업용레이저 핵심부품·모듈 기술지원 기반구축, OLED조명 육성사업 등 추진 - 기업지원 고도화
- 광산업기술력향상사업,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국내외 시험·인증 강화 및 지원,
광융복합기술 사업화 지원, 국제광산업 전시회 개최,
LED조명 실증 및 표준화 활동 확대, 광산업 공동브랜드 경쟁력 강화사업 등 추진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 산업혁신성장과
- 담당자 :
- 유화숙
- 연락처 :
- 613-38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