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에너지밸리 조성 추진
광주 에너지밸리 개념
빛가람 에너지밸리의 일부이며,사업 추진주체와 상호작용하는 광주광역시 전역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5~2020
- 사 업 비 : 1조 82억원(국비 2,163, 시비 1,580, 민자 6,339)
- 비 전 : 차세대 에너지산업 허브도시 건설
비전 및 추진전략

빛가람 에너지밸리 조성사업

빛가람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은 “한전이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이전을 계기로 지역사회와 상생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중인 사업”
- 사업기간 : 2015~2020
- 사업위치 : 광주·전남 일원, 빛가람 혁신도시
- 사업추진 : 광주, 전남(나주), 한전, 전력거래소, 한전KPS, 한전KDN
목표
- 매년 R&D 100억원 이상 투자
- 2020년까지 기업유치 500개, 전문인력양성 1,000명
주요 추진사항
전력에너지 기술개발 협력사업
한전 이전과 연계한 최초 공동 협력사업
- 사 업 명 : 성장거점 연계 지역산업 육성사업
- 기간/위치 : ’14.8~’17.7(3년)/광주·전남 일원
- 주관/참여 : 지자체(광주·전남), 한전, 지역혁신기관 및 기업
- 총사업비 : 87억원(국비 35, 시·도비 9, 한전 27, 민자 16)
- 사업내용 : 도서지역 하이브리드형 MG, MG형 ESS 개발, 네트워킹
에너지 사물인터넷(IoT)산업 생태계 조성사업
- 기간/위치 : ’15.9~’17.8(2년)/광주시 일원
- 사업참여 : 호남대, 광주TP, 한전KPS, 에너지와 공조, 전품연 등
- 총사업비 : 32억원(국비 20, 시비 4, 한전KPS 4, 민자 4)
- 사업내용 : 장·단주기 하이브리드형 ESS 실증 및 산업화
HVDC 기술개발 실증 및 산업화 사업
- ’* HVDC(초고압 직류송전) : 전자파 ×, 송전탑 크기 ↓, 지중화 ○, 건설비 ↑
- 기간/위치 : ’16~’19(4년)/광주·전남·제주 일원
- 사업시행 : 직류송배전사업단(산업부) * 단장 : 전기연 유동욱 본부장
- 총사업비 : 1,300억원
- 사업내용 : 전압형 HVDC 기술개발 및 시스템 실증·인증

워크숍, 설명회 등 개최
(에너지밸리 연계 지역발전 토론회) - 15.3.12, 김대중센터, 150명
(에너지밸리 연관 주요기관 사업설명회) - 15.3.31, 김대중센터, 300명
(에너지밸리 연계 기술교류 워크숍) - 15.4.28~29, 증도, 45명
(에너지밸리 중소기업 지원제도 설명회) - 15.7.21, 상공회의소, 250명
(기술 및 사업교류 워크숍) - 15.10.27~10.28, 증도, 100명
- 대 상 : 지역 에너지 및 전업대상 중소, 중견, 대기업 임직원
- 설명내용 : 에너지밸리 개요 및 사업내용, 기업 지원제도 등
인력양성사업
- 현장 적응형 인력양성사업
- 과 정 명 : 에너지밸리 전력신기술 전문인력 양성과정
- 교육기간/장소 : ’15.9.15 ~ 12.24(16주간) / 김대중컨벤션센터
- 교육대상 : 56명(광주·전남 전력에너지분야 대학생 3·4학년)
- 주관/후원 : (주관)한국전력-기술기획처, (후원)광주, 전남
- 교육시간 : 48시간(3시간/일 × 1일/주 × 16주)
- 교육내용 : ESS, DC배전, MC 분야 전문가·기술자 초빙, 에너지 현장위주 교육(실습·견학 병행)
- 일자리 경진대회 참가를 통한 인력양성
- 사 업 명 : GIST와 함께하는 에너지 청년 잡스(JOBS) 양성 프로젝트
- 사업기간/사업비 : ’16. 1 ~ 12 / 14억원(국비 11, 시비 3)
- 사업주관/참여 : 에너지밸리기술원/동강대,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사업내용 : 에너지 신산업 교육(150명), 일자리 105개 창출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 에너지산업과
- 담당자 :
- 조영아
- 연락처 :
- 612-3551
- 최종수정일 :
- 2020-11-05 2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