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성방향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기반 확충
- 태양광 성능평가 및 시험인증 인프라 운영, 에너지 전문 연구기관 유치,국제지열연구센터 설립·운영 등
차세대 에너지 기술개발 역량강화
- 차세대 태양전지, 에너지 저장, 마이크로그리드 등 기술개발 및 지원
- 태양광 성능평가 및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 정부지원사업(지역지원, 주택지원 등), 공공기관 설치의무화 및 발전사업자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의 적극 활용
우리 시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단위 : 천Toe, %, ′17년말 기준)
구 분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신재생에너지 연차 보급율[B/A] | 2.41 | 2.16 | 2.30 | 1.72 | 2.13 | 3.02 | 3.89 | 3.67 | 3.79 | 3.95 |
1차에너지 공급량[A] | 1,535 | 1,573 | 1,695 | 1,802 | 1,739 | 1,918 | 1,903 | 1,825 | 1,849 | 1,852 |
신재생 생산량[B] | 37 | 34 | 39 | 31 | 37 | 58 | 74 | 67 | 70 | 73 |
증가율 | - | -0.08 | 0.15 | -0.21 | 0.19 | 0.57 | 0.28 | -0.09 | 0.04 | 0.04 |
※ 자료출처 : 2018 지역에너지 통계연보(에너지경제연구원)
기반시설 확충

솔라시티센터(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
-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전문센터
- 태양광 등 제품 기술개발, 시험생산 및 시험인증 등 종합적 신재생에너지 기술지원시스템 구축수행과 기업체 첨단 인프라 지원
- ’09.3∼’11.11, 74억원
- 조직개요
- 개 소 : 2011. 11. 16.(센터준공 : 2009. 3)
- 인 원 : 27명(박사급 9, 석사급 5, 기타 13)
- 시 설 : 연면적 1,652㎡(1층 실험실, 2층 연구/사무실)
- 보유장비 : 태양전지·연료전지 공정/분석장비 32종
- 비전 및 목표
- 비 전 :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및 지원 선도전문기관
- 목 표 : 광주 및 호남권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시스템
- 주요 기능 및 역할
- 그린에너지 정책기획, 기술개발, 기업지원 및 인력양성
- 에너지 산학연 협의회 네트워킹, 태양광산업 인프라 구축, 태양광 기업지원, 현장인력 양성
- 실리콘 박막 및 화합물계 태양전지 기술개발, SOFC형 연료전지 기술개발, 2차전지 기술개발 및 광융합 신뢰성 연구 등
- 태양전지 테스트베드 사업을 통한 애로기술 해소, 기업지원

태양전지 R&D센터(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권지역본부 내)
- 세계 최고수준의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 연구센터
- I, II, III세대 태양전지 핵심소재/셀 분야 원천, 상용화 기술 확보를 통한 기업 R&D 지원
- ’12.6∼’12.10, 8.6억원
- 조직개요
- 개 소 : 2012. 10(센터준공 : 2012. 6)
- 인 원 : 8명(박사급 1, 기타 7)
- 시 설 : 연면적 452㎡(1층 공정 및 정밀분석실)
- 보유장비 : 태양전지 공정/분석장비 20종
- 비전 및 목표
- 비 전 : 세계 최고수준의 차세대 태양전지기술 선도기관
- 목 표 : World top 기술을 확보하고 호남권 태양광 기업의 R&D 역량 강화를 위한 기업지원 허브(테스트베드)
- 주요 기능 및 역할
- I, II, III세대 태양전지 핵심 소재/셀 분야의 기업 R&D 지원
- 원천, 상용화 기술 확보를 통한 기술이전
- 태양광 정책기획, 기술개발, 기업지원 및 인력양성

국제지열연구센터(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권지역본부 내)
- 열이용 기술 연구ㆍ개발 및 도심형 지열 특화 산업 육성
- ’13.5∼’14.4, 20억원
- 조직개요
- 개 소 : 2015. 4(센터준공 : 2013. 5)
- 인 원 : 4명(박사급 1, 기타 3)
- 보유장비 : 13종(분석 및 평가장비, 부대설비 등)
- 주요 연구내용
- 지열발전시스템 유동해석, 심부지열발전 플랜트 열교환 효율 해석
- 지열발전 플랜트 열, 유체 시뮬레이션
-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 측정 및 평가
- 다공도를 갖는 지중열교환기 열교환 효율 연구
- 주요 기능 및 역활
- 지열 직접 이용·발전 기술개발 및 산업화 지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분원(한국바이오에너지 연구개발센터)
- 에너지저장 및 바이오 기술개발ㆍ기업지원
- ’13.’17. 389억원
- 조직개요
- 개 소 : 2018. 3
- 인 원 : 25명(바이오연구14, 에너지저장연구7, 시설운영연구4)
- 보유장비 : 13종(분석 및 평가장비, 부대설비 등)
- 주요 사업
- 광주광역시 매칭 연구사업 (에너지저장 및 바이오에너지)
- 자체 연구사업 (폐목재 부산물 바이오 연료 중간체 생산을 위한 생촉매 개발 연구)
- 주요 기능
- RFB용 핵심소재, 시스템 기술개발
- 이차전지 재사용(재활용) 핵심 기술개발
- 바이오 Coal 생산기술 / 바이오가스 생산기술개발
- 생촉매 기반 바이오 리파이너리 기술개발
- 신재생바이오에너지 / 에너지저장 분야 기술개발 및 기업지원 등
기술개발사업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개발 및 연구기반 구축사업
- 사업기간 : ’09 ~ ’15(7년)
- 총사업비 : 275억원(전액 국비)
- 주관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사업내용 : 유기(플라스틱) 태양전지 상용화 기술개발 및 산업화
레독스 플로우 전지(RFB) 개발사업
- 사업기간 : ’12. 6 ~ ’17. 5(5년)
- 총사업비 : 90억원(국비 50, 시비 15, 민자 25)
- 주관/참여 : (주)에너지와 공조/전자부품연구원, 전남대산학협력단 등 6
- 사업내용 : 레독스 플로우 전지 시스템(20kw급) 및 핵심부품소재개발
에너지 변환 및 저장용 소재부품산업육성(경제협력권사업)
- 사업기간 : ’15 ~ ’18(3년)
- 총사업비 : 210억원(국비 127, 시비 49, 민자 34)
- 참여지자체 : 광주(주관), 전북(협력)
- 부처/전담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사업내용 : 태양전지, 심부지열, 이차전지, ESS 관련 지역기업 지원 및 육성
성장거점 연계 지역산업육성
- 사업기간 : ’14.8 ~ ’17.7(3년)
- 총사업비 : 87억원(국비 35, 시비 4, 민자등(전남, 한전) 48)
- 주관/참여 : (주)에너지와 공조/전자부품연구원, 전남대산학협력단 등 6
- 사업내용
- (1과제) 도서지역 하이브리드형(풍력, 태양광)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기술개발
- (2과제) 마이크로그리드형 스마트 BESS(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 기술개발
- (3과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과 지역혁신기관 연계 네트워킹 사업
에너지 사물인터넷(loT)산업 생태계 조성사업
- 사업기간 : ’15. 8 ~ ’17. 7(2년)
- 총사업비 : 22억원(국비 13, 시비 3, 민자등 6)
- 주관·참여 : 호남대, 한전KPS, 전품연, 광주TP, 에너지와공조 등
- 사업내용 : 장·단주기 하이브리드형 ESS 실증 및 산업화
- (1과제) 비상전원겸 피크부하 대응용 하이브리드 ESS운용 시스템 개발
- (2과제) 에너지 사물인터넷(loT)분야 기업지원
- (3과제) 에너지 사물인터넷(loT)분야 인력양성
- (4과제) 정보통신분야 혁신주체간 네트워킹
- 사물인터넷(IoT) : 모든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레독스 흐름전지(RFB) 시험ㆍ인증센터 구축 사업
- 사업기간 : ’19.4 ~ ’22.12(4년)
- 총사업비 : 250억원(국비 80, 시비 146, 민자등 24)
- 시행주체 : (전담)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전기연구원, (참여) 市, 전지조합, 전남대, 에기연, 전품연
- 사업내용 : 전력저장용 레독스흐름전지 시험평가 플랫폼 구축, 기술개발, 장비인프라 및 운영체계구축, 인력양성,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도심특화 MG부품 및 시스템 개발 사업
- 사업기간 : ’18.10 ~ ’21.3(3년)
- 총사업비 : 285억원(국비 155, 시비 67, 민자등 63)
- 시행주체 : (전담)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대호전기(주)등 7개사, (참여) 전자부품연구원 등 11개사
- 사업내용 : 도심특화 MG*부품 및 시스템 개발 및 통합지원 사업(ESS와 지능형 EMS가 적용된 DC전력 기반의 MG 개발 및 실증 등 7과제 수행)
인공지능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연구센터 지원 사업
- 사업기간 : ’18.8 ~ ’25.2(3년)
- 총사업비 : 174억원(국비 132, 시비 7, 전남대14, 민자21)
- 시행주체 : (주관)전남대, (참여)울산과학기술원, 한밭대, 숙명여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Deep solution 5개기관
- 사업내용
- 공학분야 선도연구센터(ERC) 구축
- 인공지능활용 에너지소재 플랫폼 구축(소재ㆍ공정개발, 원천소재 기술개발)
- 고부가가치형 차세대 에너지저장시스템 기술개발, 사업화 지원
블록체인 기반 EV-신재생 연계
- 사업기간 : ’19.10 ~ ’23.8(3년)
- 총사업비 : 98.1억원(국비 70, 시비 10, 민자18.1)
- 시행주체 : (전담)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조선대산학협력단, (참여)(주)케이티,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마인드(주), ㈜시그넷이브이, 목포대산학협력단, 한양대산학협력단, 대호전기(주)
- 사업내용
- 공공 커뮤니티 내 350kw급 DC전력 거래 플랫폼 시스템 개발 및 실증
-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전력거래를 위한 스마트 계약 기술 개발
- P2P간 DC 전력거래 통합 솔루션 시스템 개발 및 운영
멀티터미널 직류배전 플랫폼 구축 사업
- 사업기간 : ’19. ~ ’24.
- 총사업비 : 2,000억원(국비 1,231, 시비 379, 민자390)
- 시행주체 : 전기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한전, 한국전기안전연구원, 참여기업 등
- 사업내용
- DC기반 에너지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ㆍ기술개발
- (기반구축 1,000억원) 개방형 DC 에너지신산업 리빙랩 연구단지 구축
- (기술개발 1,000억원) 멀티터미널 직류배전 핵심부품 개발 및 DC그리드 운영ㆍ실증 등
미래형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 사업
- 사업기간 : ’19. ~ ’23.(5년)
- 총사업비 : 271억원(국비 134, 시비 30, 민자107)
- 시행주체 : (전담)에기평, (주관)SK텔레콤, (참여)한전,현대차,효성,SG사업단,광기술원,전품연 등 17개기관
- 사업내용 : 미래형 전력 서비스 모델 실증을 위한 체험단지 구축
지능형 전력령계(AMI)인프라 구축사업
- 사업기간 : ’16.3 ~ ’19.5(5년)
- 총사업비 : 45억원(국비 19, 시비8, 한전18)
- 시행주체 : 한전컨소시엄(한전,LG유플러스,한전KDN,우암,피에스텍,위지트)
- 사업내용 : 고압수전 아파트 각 세대별 전력량계(AMI) 및 서버(EMS)설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지원 사업
- 사업기간 : ’19. ~ 추진예정
- 총사업비 : 23억원(전액 민자)
- 시행주체 : ㈜한국서부발전(SPC설립)
- 사업내용 : 연료전지 발전소 330MW급 건립(남구,광산구)
한국전기연구원 광주지역조직 설립
- 사업기간 : ’15. ~ ‘22.(8년간) / 건축(’15.~‘20.6.), 운영(’20.6.~)
- 총사업비 : 742억원(국비192.5, 시비524.5, 민자25)
- 위 치 : 남구 도시첨단산업단지 A1-1
- 사업내용 : (1단계)광주 전력변환연구시험센터, (2단계)초고압 직류기반 전력기기 국제공인시험인증기반구축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정부지원사업
- 주택지원사업 ('04년~'19년) : 4,010개소(태양광 1,734kw, 태양열 326㎡ 등)
- 지역지원사업 ('07년~'19년) : 185개소 (태양광 2,380kw, 태양열 2,200㎡ 등)
- 건물지원사업 ('07년~'19년) : 148개소 (태양광 3,277kw, 태양열 2,002㎡ 등)
공동주택 햇빛발전소 보급사업
- 사업기간 : ’15 ~ ’19년(계속)
- 사업대상 : 광주광역시 내 공동주택
- 사업내용 : 공동주택 발코니 및 경비실옥상용 소형태양광(250W~350W)설치비 지원
- 추진실적 : 1,920개소, 태양광575kw (’15 ~ ’19년)
공공기관설치의무화 (신축 및 증·개축하는 연면적 1,000㎡이상 건물)
- 공공기관설치의무화 ('08년~17년) : 105개소 (태양광 3,538kw, 태양열 350㎡, 지역 2,582kw 등)
신재생에너지 민간 발전사업
민간발전사업 허가현황
연도·상태별 발전사업 현황
(단위: 건, kW)
구 분 | 계 | ’05~’14 | ’15 | ’16 | ’17 | ’18 | ’19.6. | |
---|---|---|---|---|---|---|---|---|
계 | 건 수 | 1,096 | 303 | 83 | 84 | 203 | 254 | 169 |
설비용량 | 197,182 | 55,612 | 11,174 | 12,404 | 45,777 | 44,733 | 27,482 |
에너지원별 발전사업 허가 현황
구 분 | 계 | ’05~’14 | ’15 | ’16 | ’17 | ’18 | ’19.6. |
---|---|---|---|---|---|---|---|
계(건) | 1,096 | 303 | 83 | 84 | 203 | 254 | 169 |
태 양 광 | 1,088 | 298 | 83 | 83 | 202 | 254 | 168 |
태양광 외 | 8 | 5 | - | 1 | 1 | - | 1 |
신재생에너지 전시회
SWEET 2020 (하늘바람땅에너지전)
- 일 시 : '20. 3. 18. (수) ~ 3. 20. (금) ⇒ '20. 6. 3. (수) ~ 6. 5.
- 장 소 : 김대중컨벤션센터
- 총사업비 : 3.2억원 (국비 1.6 시비 1.6)
- 규모 : 30개국, 245개사 참가 550부스
- 주최/주관 : 광주시,전라남도 / 김대중컨벤션센터, 에너지공단 등
- 주요내용
- 신재생에너지 제품 및 기술 전시
- 투자유치 MOU, 국제회의, 학회 및 단체회의 등 부대행사 개최
- 광주·전남 투자설명회, 신기술·신제품 설명회, 수출상담회, 세미나, 워크숍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 에너지산업과
- 담당자 :
- 김광모
- 연락처 :
- 613-37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