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란?
황화수소·메르캅탄류·아민류 그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서 여러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존재하면서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사람의 쾌적한 정서생활과 나아가 건강에 피해를 주는 나쁜 냄새를 말한다. 즉 악취는 사람에게 특정냄새자체로 심리적·정신적 피해와 건상상의 피해를 주는 감각오염의 한 형태입니다.
주요 물질별 악취의 특성
화합물 | 냄새의 특성 | 원 인 물 질 명 |
---|---|---|
황화합물 | 양파, 양배추 썩는 냄새 |
메틸메르캅탄(CH3SH), 황화메틸[(CH3)2S], 이황화메틸(CH3SSCH3) 등 |
계란 썩는 냄새 | 황화수소(H2S) 등 | |
질 소 화 합 물 |
분뇨 냄새 | 암모니아(NH3), 에틸아민(CH3CH2NH2) 등 |
생선 썩는 냄새 | 메틸아민(CH3NH2), 트리메틸아민[(CH3)3N] 등 | |
알데히드류 | 자극적이며, 새콤하고 타는 듯한 냄새 |
아세트알데히드(CH3CHO), 프로피온알데히드(CH3CH2CHO), 노말부틸알데히드[CH3(CH2)2CHO], 이소부틸알데히드[(CH3)2CHCHO], 노말발레르알데히드[CH3(CH2)3CHO], 이소발레르알데히드[(CH3)2CHCH2CHO]등 |
탄화수소류 | 자극적인 신나냄새 | 아세트산에틸(CH3CO2C2H5), 메틸이소부틸케톤[CH3COCH2CH(CH3)2] 등 |
가솔린 냄새 | 톨루엔(C6H5CH3), 스티렌(C6H5CH=CH2), 자일렌[C6H4(CH3)2] 등 |
|
지방산류 | 자극적인 신냄새 | 프로피온산(CH3CH2COOH)등 |
땀냄새 | 노말부티르산[CH3(CH2)2COOH] 등 | |
젖은 구두에서 나는 냄새 | 노말발레르산[CH3(CH2)3COOH], 이소발레르산[(CH3)2CHCH2COOH] 등 |
|
할 로 겐 원 소 |
자극적인 냄새 자극성 냄새 |
염소, 불소 등 |
악취의 영향
- 호흡기 계통
좋은 냄새를 맡으면 호흡이 깊어지고, 불쾌한 냄새를 맡으면 반사적으로 호흡이 멈춰지고 호흡리듬의 변화가 일어나 호흡수 및 호흡의 깊이가 감소됩니다. 악취로 인한 호흡변화는 악취정보가 호흡중추에 작용하기 때문으로서, 개를 이용한 실험에 따르면 악취물질이 후신경을 자극하거나 3차신경과 후신경의 양쪽을 자극시켜 호흡변화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순환기 계통
좋은 냄새를 맡으면 깊은 호흡과 동시에 혈압이 하강하고 과도한 긴장을 풀어주는 등의 진정효과가 있으며, 반대로 자극적인 냄새(악취)는 혈압의 상승 등에 의한 정신적 불안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 소화기 계통
후각은 미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좋은 냄새는 식욕증가를 유발하는 반면, 악취는 일반적으로 위장활동을 억제하고 소화액의 분비를 저해하여 식욕 감퇴, 수분섭취의 저하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 구토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 수면 장해
악취가 건강에 미치는 또 다른 영향은 불면증과 정신불안을 들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계속해서 불쾌한 냄새에 노출되면 사람은 안정감을 잃게 되고 마음이 조급해지며, 심한 경우 히스테리 상태가 되어 이상한 행동을 하는 등 정신적 작용으로 인한 영향이 크게 나타납니다. 또한, 불쾌한 냄새로 인하여 깊은 잠에서 깨어나면 다시 잠들기 어렵게 되며, 약한 악취에도 수면방해가 있을 수 있게 되지만 어느 정도의 냄새에서 수면이 방해되는가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일정하지 않습니다. - 두통, 구토감
불쾌한 냄새에 의해 두통이나 구토를 호소하는 예는 대단히 많으며, 방향성(芳香性) 물질에 있어도 장기간 또는 고농도로 노출되면 대단히 강한 불쾌감과 혐오감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영향은 대단히 주관적이며 불쾌한 정도나 대상물질은 사람의 태도, 성질, 시간 등에 좌우되는 수가 많습니다. - 기타 영향
황화수소나 유기황화합물 등의 악취물질이 고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사고가 발생되지만, 저농도에서도 장기간에 걸쳐 환경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동·식물에 여러 가지 생리적 장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악취물질에 의해 금속의 부식, 고무의 열화, 구조물의 손상 등의 광범위한 영향도 일어날 수 있으나, 이는 악취에 의한 영향보다는 개별물질의 물리·화학적 성격에 따른 영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시 악취 현황 및 대책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삶의 질은 향상되었으나, 우리시의 하남산단 및 기아자동차 공장 주변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밀집되어 쾌적한 환경질을 요구하는 악취민원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러므로 우리시에서는 악취민원 발생 등 악취취약 사업장을 악취중점관리사업장(21개소)으로 지정하고 지도·점검을 강화하였으며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수완지구 및 기아자동차(주) 등 취약지역 8개소에 대하여 매월 정기적으로 복합·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악취취약시기인 하절기에는 시·구·보건환경연구원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악취배출사업장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하남산단 및 기아자동차 주변 지역주민, 업체관계자, 공무원들로 구성된 ‘악취순찰반’을 운영하는 등 야간시간대 순찰활동 및 악취중점관리사업장에 대한 기술지원을 통해 시설개선 등이 이뤄지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오고 있습니다.
한편, 악취민원이 1년이상 지속되고,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자 하는 지역내의 악취가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와 산단등 공업지역중 악취민원이 집단적으로 발생하여 주민의 건강과 생활환경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최근 악취방지법 개정(2011.2.4)으로 악취민원이 1년 이상 지속되고, 3회 이상 악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해당 배출시설을 신고대상시설로 지정할 수 있어 악취배출사업장에 대한 관리가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 담당부서 :
- 기후환경정책과
- 담당자 :
- 이수완
- 연락처 :
- 613-4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