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메뉴 열기

시민 모두가 누리는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

광주광역시 환경

습지보호지역 현황

근 거
  • 습지보전법 제8조(습지지역의지정 등)
현 황
장록습지(2020.12.08.)와 담양하천습지(2004.07.08.)에 대해 구분(지정),위치,면적(㎢),특징으로 구분지어 안내합니다.
구분
(지정)
위치 면적
(㎢)
특징
장록습지
(2020.12.08.)
광산구 장록동·서봉동·선암동·송대동 등 일원
(호남대정문 황룡강교~영산강합류부 까지 약 7.8km 길이)
2.735㎢
※여의도면적(2.9㎢)보다 약간 작거나 유사
약 60년 이상 비교적 자연적인 지형유지, 도심지 습지로 비교적 자연성이 높으며, 멸종위기종 4종을 비롯한 다양한 야생생물의 주요 서식처로서 “관리 및 보전 필요성이 높은 지역”
담양하천습지
(2004.07.08.)
영산강(광주 북구 용강동 ~ 전남 담양군 봉산면 0.981㎢
(광주권 면적 0.095㎢)
자연형 하천형태를 유지하고, 멸종위기종(Ⅰ·Ⅱ) 및 영산강 상류의 조류 집단서식지로서 풍부한 생물다양성이 보전된 최초 하천 습지보호지역
장록습지 생물 서식현황(’18년 정밀조사 결과)
  • 총 829분류군의 야생동식물 서식
    멸종위기종 4종[1급_수달 / 2급_삵,새호리기,흰목물떼새] 포함
장록습지 생물 서식현황에 대해 구분,계,식물,포유류,조류,양서파충류,어류,저서무척추동물,기타로 구분지어 안내합니다
구 분 식물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저서무척추동물 기타
종 수 829 179 10 72 7 25 48 육상곤충 320종
식물풀랑크톤 168종
담양습지 생물 서식현황(’14년 정밀조사 결과)
  • 총 662분류군의 야생동식물 서식
    멸종위기종 8종[1급_흰꼬리수리,수달 / 2급_구렁이, 독수리, 새호리기,흰목물떼새, 수리부엉이, 삵] 포함
담양습지 생물 서식현황에 대해 구분,계,식물,포유류,조류,양서파충류,어류,육상곤충으로 구분지어 안내합니다
구 분 식물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육상곤충
종 수 662 278 11 63 9 33 268
습지의 기능과 가치
홍수조절의 기능

습지는 홍수조절에 있어서 절대적인 기능을 발휘하는데,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와 물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하류로 흘러가는 속도를 늦추는데 큰 역할을 한다. 미국의 한 보고서에 의하면 0.4ha(4,000㎡, 약 1,200평)의 습지는 6,000㎥ 이상의 수량을 머금을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습지 1㎡당 약 1.5㎥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해안선의 안정화 및 폭풍방지 기능

연안습지는 폭풍에 의한 큰 파도와 같은 기상 변화로부터 육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데, 바람과 파고를 경감시키며 해상으로부터 육지로 들어오는 각종 물질을 습지 내에 퇴적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영양분과 먹이의 공급 기능

습지는 물의 이동을 늦추는 한편 자양분과 퇴적물을 보유하고 있는데, 내륙범람원(floodplain)과 하구의 삼각주는 홍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면서 범람지역(침수지역)으로 많은 영양분을 침전시키고, 이 영양분은 물속에서의 미생물 활동과 습지식물의 성장을 왕성하게 하여 수서 곤충이나 어패류에게 먹이를 제공하고 다시 수서곤충과 어류는 물새나 양서·파충류, 소형 포유동물의 먹이가 된다.

기후 조절의 기능

습지는 지상에 존재하는 탄소의 40% 이상을 저장할 수 있는데 특히 이탄지(peatlands)와 산지습지는 중요한 탄소의 흡수 및 저장소이다. 지표면의 약 6%를 차지하는 습지는 거시적인 측면에서는 대기 중으로 탄소 유입을 차단하여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양을 적절히 조절해주며, 미시적 측면에서는 특정 지역의 대기온도 및 습지 등을 조절하는 국지적 기후조절기능을 가진다.

수질정화의 기능

습지는 인, 질소와 같은 높은 수준의 영양소를 처리함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데 미국 플로리다의 삼나무 늪지(cypress swamps)는 지표수가 지하로 스며들기 전에 질소의 98%와 인의 97%를 제거한다고 한다(Ramsar, 2002).
많은 습지식물은 농약, 공업용수 그리고 탄광에서 발생하는 하수 등에 존재하는 유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습지식물은 그 세포조직 안에 인근 주위 물 속에 있는 중금속의 100,000배 농도로 축적할 수 있다고 밝혀져 습지의 수질정화 기능의 가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생물종 다양성 유지 기능

담수습지에는 전 세계 생물종의 40% 이상, 특히 포유류의 12%이상이 서식하고 있으며, 어떤 특정 습지는 매우 많은 고유종을 갖고 있어 아마존 강에는 1,800여 고유어종이 서식하고 있다.
종 다양성 측면에서 열대우림과 견줄 수 있는 산호초 지대는 모든 해양생물의 25% 정도를 가지고 있다. 산호가 서식하는 모래톱에는 4,000여 종의 어류와 800여 종의 산호류를 비롯하여 100만 종 이상의 생물종이 서식한다고 한다.

생산적 기능

습지는 인간이 필요로 하고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 어·패류와 같은 음식과 목재, 땔감, 사료 등 생활용품을 제공하는데, 약 10억의 인구가 단백질을 섭취하기 위하여 주로 어류를 먹고 있고 아시아지역에서는 습지식물 중 하나인 벼를 재배하여 쌀을 주식으로 살아가고 있다.

여가활동과 관광을 위한 기능

습지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동식물과 자연그대로의 아름다움은 생태관광지로의 기능도 부여하고 있다. 훌륭한 경관을 지닌 많은 습지지역이 국립공원 또는 World Heritage(세계유산)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이러한 지역들은 관광객과 여가활동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많은 수입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환경교육을 위한 장소로서의 가치도 높아 많은 청소년층이 생태계에 대한 체험학습을 하고 있으며, 습지탐사 또는 조류관찰 같은 생태관광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적인 가치

문화적 가치는 습지의 기능으로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아 왔으나, 많은 습지가 종교적, 역사적, 고고학적, 또는 문화적 측면에서 지역사회 뿐만아니라 한 국가가 갖는 유산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습지 보호를 위하여 다음 행위를 제한 합니다(습지보전법 제13조)
  • 건축물 신·증축, 토지 형질변경
  • 습지의 수위 또는 수량 증가ㆍ감소
  • 흙ㆍ모래ㆍ자갈ㆍ돌 채취
  • 광물 채굴
  • 인위적 동식물 도입, 경작ㆍ포획ㆍ채취
자료관리 담당자
담당부서 :
기후환경정책과
담당자 :
박승열
연락처 :
613-4142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