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생활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의학 상식을 다루고 있습니다.
많은 정보와 유익한 의학상식이 있습니다.
생활응급 처치에서는 기본인명구조술, 응급을 요하는 증상, 외상처리, 응급질환, 환경 및 위험물에 의한 응급,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및 교육을 다루고 있습니다.
상처의 소독, 보호 - 드레싱
드레싱은 상처를 덮어주어 균으로부터 보호하고 지혈과정을 돕는다. 가능하면 치료용도로 포장된 소독붕대를 사용한다. 만일 소독된 것이 없으면 깨끗하고 보풀이 없는 삼각건이나 손수건으로 붕대를 대신할 수 있다. 보풀이 있는 천은 상처에 붙어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드레싱 일반수칙

- 상처 부위에는 소독거즈를 두텁게 덮어야 한다.
- 거즈는 상처위에 직접 놓아 옆에서 밀어 놓지 않도록 하고 비껴진 것은 제자리에 놓는다.
- 만일 소독된 붕대가 하나밖에 없으면 상처위에 놓고 다른 깨끗한 물품으로 덧댄다.
- 처치자의 호흡이나 손에서 상처부위로 균이 옮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지키는 것이 좋다.
- 1. 가능하면 1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 2. 처치 전 손을 깨끗이 씻는다.
- 3. 상처에 손을 대거나 닿은 때는 붕대를 건드리지 않는다.
- 4. 상처에 대고 이야기 하거나 기침을 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드레싱 방법
처치자는 장갑을 착용하고, 붕대는 바깥쪽이 상처부위에 닿도록 한다.
멸균 드레싱

이 드레싱은 붕대가 달린 드레싱 패드를 말한다.
멸균된 드레싱은 다양한 크기가 있고 낱개로 잘 포장되어 있다.
만일 포장이 파손되면 그 드레싱은 더 이상 무균상태가 아니다.
방법
- 1. 포장을 벗기고 붕대 끝을 찾아 들어 놓는다. 멸균된 패드를 펴놓되 과정 중 닿아서 오염 되지 않게 조심한다.
- 2. 패드 양쪽의 붕대를 잡고 상처 위에 바로 패드를 놓는다.
- 3. 붕대의 짧은 쪽을 팔이나 다리에 한번 돌려 잘 고정한다.
- 4. 붕대의 긴 쪽으로 상처부위를 감싸고 있는 거즈의 전체를 고정하며 감는다.
* 만일 드레싱이 벗겨 나가면 제거하고 새 드레싱을 사용한다 . - 5. 붕대 끝을 매듭으로 묶고 고정한다. 매듭은 상처부위 위에 묶어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하고 만일출혈이 새어 나오면 그 위에 다른 드레싱을 덧댄다.
- 6. 피가 잘 통하는지 점검한다.
거즈 드레싱

멸균된 드레싱이 없으면 거즈 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거즈를 몇 겹으로 접어서 만들며 부드럽고 유연하게 상처를 감쌀 수 있다.
방법
- 1. 거즈패드의 가장자리를 잡고 상처 위에 곧바로 놓는다.
- 2. 거즈 위에 몇 겹을 덧댄다.
- 3. 반창고로 고정하거나 감은 붕대로 잡는다.
접착 드레싱

흔히 반창고(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작은 상처에 사용한다.
방법
- 1. 포장을 벗기고 패드를 아래로 향하게 하영 보호대를 잡는다.
- 2. 보호막을 벗기되 완전하게 떼어내지 말고 드레싱패드는 만지지 않으며 상처 위에 놓는다.
- 3. 보호막을 떼어 내어 끝을 눌러 붙인다.
냉찜질
타박상이나 삔 곳은 차갑게 하면 부식와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다친 부위를 흐르는 찬물에 대고 있거나 물 안에 담글 수 있다. 상처 부위가 머리나 가슴같이 다루기 힘든 부위이거나 장시간 냉각시켜야 하는 경우는 얼음주머니나 냉습포를 이용한다.
방법
- 1. 비닐주머니에 절반이 넘을 정도로 얼음을 채우고 주머니 끝을 묶고 수건같은 천으로 싼다.
- 2. 부상부위에 얼음주머니를 놓는다.
- 3. 20-30분간 상처부위를 냉찜질 하고 얼음을 보충한다.
냉수포
방법
- 1. 수건이나 천을 아주 찬물에 담그었다가 건져 찬 기운과물기가 남아 있을 만큼만 짜내고 상처 부위에 같다 댄다.
- 2. 같은 방법을 5분 동안 반복하여냉기를 유지시킨다.
붕대감기
붕대를 감는 데는 여러 가지 목적이 있다.
드레싱을 제자리에 고정시키고, 출혈을 억제하며, 부상부위를 지지 고정시키고, 붓기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붕대를 감기 전
- 부상자에게 무엇을 하려는 지 설명한다.
- 가능하면 앉거나 눕는 자세로 부상자를 편하게 한다.
- 항상 부상자 앞에, 가능하면 부상 입은 쪽으로 서 있는다.

붕대를 감을 때
- 멈추고 드레싱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단히 감아야 하나 혈액순환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다친 부위를 받쳐준다.
- 가능하면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붕대 끝으로 나오게 하며 혈액순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한다.
다리고정을 위한 붕대감기
- 다리 사이에 부드러운 패드를 대준다.
- 넓은 붕대로 무릎 위를 고정하고 좁은 폭의 붕대로는 발과 발목을 팔자붕대로 하여 고정한다.
혈액순환상태를 식별하는 법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혈액순환 상태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물론 신경, 근육 등이 같이 손상되었을 수도 있다.
- 손발의 피부가 차고 창백하다.
- 나중에는 피부가 거무스레한 회색이나 푸른색을 띤다.
- 저리거나 따끔거린다.
- 그 부위를 움직일 수 없다.
롤 붕대 감는 법

방법
- 1. 붕대 꼬리를 부상 부위 아래에 대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두 번 머리를 똑바로 돌려 감는다.
- 2. 사지를 나선형으로 감아나간다. 전층의 1/2-2/3를 덮는다.
- 3. 끝날 때는 한번 똑바로 감고 끝을 고정한다.
- 4. 팔 다리의 순환을 점검한다.
- 담당부서 :
- 소방안전본부 구조구급과
- 담당자 :
- 장시환
- 연락처 :
- 613-8163
- 최종수정일 :
- 2020-11-05 2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