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광역시 역사민속박물관광주신창동마한유적체험관

모바일메뉴 열기

서브 비주얼

우리 조상의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공간

광주광역시 역사민속박물관
구석기시대
  • 치평동 유적·산월동 유적
청동기시대
  • 충효동 고인돌
  • 송암동·삼거동·매월동 주거지
초기철기시대
  • 신창동 유적
  • 오룡동 주거지
원삼국시대
  • 신창동 유적오룡동 주거지
삼국시대
  • 498년 백제 동성왕 20년, 탐라 정복을 위해 왕이 무진주까지 행차
  • 명화동·월계동·쌍촌동 고분
통일신라시대
  • 686년 신라 신문왕 6년 무진군을 무진주(武珍州)로 개칭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무주(武州)로 개칭
  • 892년 신라 진성여왕 6년 견훤이 무진주에서 후백제를 세움
고려시대
  • 940년 태조 23년. 광주(光州)로 개칭
  • 996년 성종 15년. 광주자사(光州刺史)를 둠 해양현(海陽縣)이 됨
  • 1259년 고종 46년. 익주(翼州)로 개칭 광주목(光州牧)으로 승격
  • 1310년 충선왕 2년. 화평부(化平府)로 강등
  • 1362년 공민왕 11년. 무진부(武珍府)로 개칭
  • 1374년 공민왕 23년 광주목으로 개칭
조선시대
  • 1393년 태조 2년. 나주·광주에 계수관(界首官)을 둠
  • 1417년 태종 17년. 전라병영성을 광주 내상(內廂)에서 강진 병영으로 이설
  • 1430년 세종 12년. 무진군으로 강등
  • 1451년 문종 1년. 광주목으로 환원
  • 1474년 성종 5년. 창평현(昌平縣)을 광주에 붙임
  • 1481년 성종 12년. 광산현으로 강등
  • 1501년 연산군 7년. 광주목으로 환원
  • 1592년 선조 25년. 고경명·김덕령 등 의병장으로 활약
  • 1624년 인조2년. 이괄의 난으로 인해 광산현으로 강등
  • 1634년 인조 12년. 광주목으로 환원
  • 1701년 숙종 27년 광산현으로 강등
  • 1757년 영조 33년. 광주목으로 환원
  • 1869년 고종 6년. 광산현으로 강등
  • 1871년 고종 8년. 광주목으로 환원
  • 1894년 고종 31년. 동학농민전쟁에 다수 주민 참가
  • 1895년 고종 32년. 나주부(羅州府) 산하 광주군으로 됨
  • 1896년 고종 33년. 13도제의 실시로 23부가 폐지되고, 전라남·북도로 나뉨에 따라 전라남도 광주가 행정 중심지가 됨
대한제국기
  • 1899년 지방대대(地方大隊) 설치
  • 1906년 광주를 중심으로 의병운동 활발히 전개됨(~1909년)
일제강점기
  • 1910년 전남관찰부를 전남도청이라 개칭
  • 1913년 성내면·공수방 등 1개면(面)과 3개방(坊)을 합해 광주면(光州面)이 됨
  • 1914년 송정리를 경유하는 호남선 철도 전면 개통
  • 1915년 불로동에 독립된 광주면 청사 마련
  • 1917년 지정면(指定面)이 되어 일본인 면장 취임
    - 광주에 처음으로 전기가 들어옴
  • 1919년 3.1만세 시위에 다수 참가
  • 1922년 광주~송정리 및 광주~담양간 철도 개통
  • 1923년 서방·효천·지한면의 일부를 합병, 23개 정(町)을 만듦
  • 1925년 불로동에서 광산동으로 광주면 청사를 옮김
  •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비행장 완공(1920년대 말)
  • 1930년 광주~여수간 철도 개통. 신광주역사(남광주역사)준공도청 본관 준공
  • 1931년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승격
  • 1935년 광주부(光州府)로 승격. 광주군을 광산군으로 개칭
    - 광주군의 서양면·지한면·효천면·극락면 일부 지역 광주부에 편입
  • 1937년 수피아여학교·숭일학교 신사참배 거부로 자진폐교
  • 1938년 전남광주역은 광주역으로, 신광주역은 남광주역으로 환원
  • 1943년 제2차 광주학생독립운동 일어남(제2차 무등회 사건)
  • 1944년 광주~담양간 철도 철거
해방이후
  • 1945년 미군 광주에 진주(9월 23일)
  • 해방 이후 47년까지 명치정·본정 등 일본식 지명을 금남로, 충장로 등으로 변경
  • 1946년 국방경비대 창설(광주 상무대에서 4연대 창설) 41정(町)을 47동(洞)으로 고침
  • 1949년 광주시로 개칭, 광주부에 있던 광산군청을 광산군 송정면 송정리로 옮김
  • 1950년 인민군 광주 점령. 전남도청 부산으로 후퇴(2개월 후 인민군 물러감)
  • 1952년 광주육군종합학교를 상무대(尙武臺)로 명명
  • 1953년 상무대 내 제5포로수용소에 수용했던 반공포로 석방
  • 1955년 광산군 서방·극락·효지·석곡면 일부 지역을 광주시로 편입
  • 1960년 3.15부정선거 항의 시위
  • 1969년 시청사를 광산동에서 계림동으로 옮김
  • 1970년 광주천 일부 복개공사 완공
  •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
  • 1984년 88올림픽고속도로(광주~대구간)개통
  • 1986년 광주직할시로 승격, 광산군 송정읍 일원→송정시로 승격(광산군 9개면으로 축소)
  • 1988년 송정시 및 광산군 흡수
  • 1995년 직할시에서 광역시로 변경
    - 상무대를 장성군으로 이전
    - 광주시 서구에서 남구를 분리
  • 2004년 시청사를 계림동에서 치평동으로 옮김
  • 2005년 전남도청이 광주를 떠나 무안군 남악리로 옮겨감
자료관리 담당자
담당부서 :
학예연구실
담당자 :
김신혜
연락처 :
613-5362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