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안전도시 공인까지 추진사항
- 안전도시 조례 제정 ’12. 2.
- 안전도시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12. 2.~’13. 2.
- 안전도시 실무협의회 개최 ’12. 4. 20.
- 기본계획 용역 추진방향 보고
- 국제안전도시 공인준비도시 등재의향서 제출 ’13. 2. 15.
- 국제안전도시 기본계획 수립 ’13. 3. 9.
- 손상예방 분야별 안전증진 프로그램(8개 분야 80개) 선정
- 국제안전도시 공인 업무지원 협약체결 ’13. 3. 12.
- 아주대 지역사회안전증진연구소(Center for Community Safety Promotion)
- 안전도시 홍보·교육 및 네트워크 활동 ’13. 11.
- 시내버스(30대) 및 지하철 역사(8개소) 랩핑 홍보
- 홍보수첩, 홀더 파일, 쇼핑백 배부, 전광판에 홍보동영상 홍보
- 안전도시 분과위원회(6개 분과) 구성 및 운영 ’14. 3
- 국제안전도시 공인 세부시행계획 수립 ’14. 7. 1.
- 국제안전도시 공인 사전 현지실사(국내) ’15. 8. 27 ~ 28.
- 국제안전도시 공인 신청서 제출(국제안전도시공인센터) ’15. 10. 8.
- 국제안전도시 공인 현지 실사 및 평가 ’15. 12. 2.~ 3.
- 국제안전도시 실사단(Dale Hanson 호주 제임스쿡대학교수 등 2명)
- 국제안전도시 공인 승인 통보(공인센터⇒광주시) ’15. 12. 28.
- 국제안전도시 공인식 및 국제 심포지엄 개최 ’16. 4. 28.
- 협정서 서명, 공인패 전달, 퍼포먼스 등(시민 800여명 참석)
국제안전도시 공인 이후 추진사항
- 국제안전도시 공인식 및 심포지엄 결과 보고 ’16. 5.
- ’15년 광주광역시 국제안전도시 연차보고서 작성 ’16. 7.
- 제2기 안전도시 6개 분과위원회 구성 ’16. 8. 1.
- 제2기 안전도시 협의회 및 실무협의회 구성 ’16. 9. 9.
- 안전도시 분과위원별 회의 개최 ’16.9~10
- 안전도시 6개 분과위원회 간담회 개최 ’16.10.26
- ’15년 광주광역시 사고손상 사망률 통계 분석 ’16.11.
- 안전도시 6개 분과위원회 보조금 지급 ’17. 1.
- ’16년 안전증진 프로그램 운영실적 책자 발간 ’17. 2.
- ’16년 광주광역시 국제안전도시 연차보고서 작성 ’17. 3.
- ’17년 안전도시 실무협의회 개최 ’17. 4. 3.
- 참석인원 : 20(시민단체 8, 유관기관 6, 공무원 6)
- 주요내용 : 국제안전도시 추진개요 보고, 국제안전도시 향후 연구과제 발표 / 자치구별 분과위원회 확대 논의(현행유지) 등
- ’16년 광주광역시 사고손상 사망률 통계 분석 ’17.11.
- 안전도시 6개 분과위원회 보조금 지급 ’18. 1.
- ’17년 안전증진 프로그램 운영실적 책자 발간 ’18. 2.
- ’17년 광주광역시 국제안전도시 연차보고서 작성 ’18. 3.
- 안전도시 분과위원별 회의 개최 ’16.9~10
- 제3기 안전도시 6개 분과위원회 구성 ’18. 8. 1.
- 제3기 안전도시 협의회 및 실무협의회 구성 ’18.10.26.
- ’17년 광주광역시 사고손상 사망률 통계 분석 ’18.10.29.
- 광주광역시 안전도시 조례 일부조례개정 ’18.12.15.
- ’18년 안전도시 실무협의회 개최 ’18.12.24.
- 참석인원 : 20(시민단체 2, 유관기관 9, 공무원 9)
- 주요내용 : 국제안전도시 추진개요 보고, 아동·노인·폭력·자살 등 추진사항 보고
- ’19년 안전도시 6개 분과위원회 보조금 지급 ’19 1.
- ’18년 안전증진 프로그램 운영실적 책자 발간 ’19. 2.
- ’18년 광주광역시 국제안전도시 연차보고서 작성 ’19. 3.
- ’18년 광주광역시 사고손상 사망률 통계 분석 ’19.10.15.
- ’19년 안전도시 협의회(실무) 개최 ’19.11.27
- 참석인원 : 50(안전도시협의회(실무)위원, 6개분과위원회 위원, 실무자등)
- 국제안전도시 추진사항 및 2018년 광주사고손상통계 보고
- UNDRR MCR컨설팅, 6개 분과위원회 추진현황 보고, 토론 및 의견수렴
향후추진계획
기본방향
안전증진사업을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켜 시민의 행복과 삶의 질 향상 및 2021년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통과 목표
- 안전증진 프로그램 추진성과 분석 : 지속
- 안전도시 대시민 홍보(홍보전단, 홍보동영상 등) : 지속
- 분야별 안전증진 프로그램 추진 독려 : 지속
- 안전도시 6개 분과위원회 운영 : 지속
·분과별 안전증진사업 추진 및 실적 관리 등 -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신청 및 선포 : 2021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 안전정책관
- 담당자 :
- 오문교
- 연락처 :
- 613-4931
- 최종수정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