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6개* 노인돌봄사업을 ‘노인맞춤돌봄서비스’로 통합·개편(’20.1월 시행)
* ① 노인돌봄기본서비스, ② 노인돌봄종합서비스, ③ 단기가사서비스, ④ 초기독거노인 자립지원 사업, ⑤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사업, ⑥ 지역사회 자원연계 사업
목적
- 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운 취약노인에게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노인의 기능·건강 유지 및 악화 예방
서비스 대상
-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중 독거·조손가구 등 돌봄이 필요한 노인(대상자 선정도구*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
※ 대상자 선정도구 : 신체‧정신‧사회참여 영역의 취약요인을 조사하여 대상자 선정여부, 서비스 제공시간의 범위 등을 산정
서비스 신청
- (신청권자) 본인, 신청자의 친족* 및 이해관계인**
* 친족 : 배우자,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 이해관계인 : 친족을 제외한 이웃 등 그 밖의 관계인 - (신청서 제출) 서비스 대상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동 주민센터
- (제출서류) 신청서(동 주민센터 비치), 신분증 등
서비스 내용
- 안전지원, 사회참여, 생활교육, 일상생활분야의 다양한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계획에 따라 직접 또는 연계 제공
- 방문형, 통원형(그룹형 프로그램) 등 제공형태 다양화
※ 각 대상자의 돌봄욕구·필요정도에 따라 제공시간, 서비스 내용 등 지원수준이 다름
구분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
직접 서비스 (방문・통원 등) |
안전지원 | ▶ 방문 안전지원 | • 안전・안부확인 • 정보제공(사회·재난안전, 보건·복지 정보제공) • 생활안전점검(안전관리점검, 위생관리점검) • 말벗(정서지원) |
▶ 전화 안전지원 | • 안전・안부확인 • 정보제공(사회·재난안전, 보건·복지 정보제공) • 말벗(정서지원) |
||
▶ ICT 안전지원 | • ICT 관리·교육 • ICT 안전·안부 확인 |
||
사회참여 | ▶ 사회관계 향상 프로그램 | • 여가활동 • 평생교육활동 • 문화활동 |
|
▶ 자조모임 | • 자조모임 | ||
생활교육 | ▶ 신체건강분야 | • 영양교육 • 보건교육 • 건강교육 |
|
▶ 정신건강분야 | • 우울예방 프로그램 • 인지활동 프로그램 | ||
일상생활 지원 | ▶ 이동・활동지원 | • 외출동행 | |
▶ 가사지원 | • 식사관리 • 청소관리 |
||
연계서비스 (민간후원자원) | ▶ 생활지원연계, 주거개선연계, 건강지원연계, 기타서비스 | ||
특화서비스 | ▶ 개별 맞춤형 사례관리, 집단활동, 우울증 진단 및 투약 지원 |
* 은둔형·우울형 노인에 대한 특화서비스 별도 실시
서비스 이용
- (수행기관) 각 자치구에서 지역 내 노인인구, 접근성 등을 고려, 권역을 설정하여 수행기관 선정·위탁
- 19개소 : 동구 2, 서구 4, 남구 3, 북구 6, 광산구 4 - (수행인력) 전담사회복지사‧생활지원사
- (이용자 부담금) 무료
서비스 제공절차
- 서비스 신청접수읍면동
- 대상자 선정조사 및 서비스 상담수행기관
(전담사회복지사 등) -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수행기관
(전담사회복지사) - 심의 및 결정시군구
- 서비스 제공(생활지원사 등)
- 재사정수행기관
(전담사회복지사 등) - 종결 및 사후관리(전담사회복지사 등)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 고령사회정책과
- 담당자 :
- 장원자
- 연락처 :
- 613-3032
